본문 바로가기
생활건강 잡기

피부 질환 피부병소 종류 13종 +궤양 소수포 낭종 등

by 비노트고고 2025. 7. 13.

 

Erosion (미란), ulcer (궤양), fissure (균열)의 차이를 이해하고 피부 병소를 정확히 구분해 보세요. 상피와 진피 관계까지 자세히 설명합니다


피부에 무언가 올라오거나 패이는 병소가 생기면 누구나 한 번쯤은 불안해합니다. “이거 단순한 뾰루지일까? 아니면 뭔가 더 심각한 걸까?”라며 거울 앞에서 유심히 살펴보게 되죠.

어떤 병소는 작고 여러 군데 퍼져서 나타나기도 하고, 어떤 것은 한 군데 크게 자리 잡아 눈에 띕니다. 손가락 끝에 얕은 균열이 생겨 아플 때도 있고, 물집처럼 올라왔다가 터지면서 헐어버리기도 합니다. 혹은 입술 주변에 작은 물집이 무리 지어 생겨 따끔거리는 경험도 있을 겁니다.

 

이처럼 피부에 생기는 변화는 단순히 ‘상처가 났다’는 수준이 아니라 형태와 깊이에 따라 다양하게 나뉩니다.

 

점 형태의 병소 (macule, patch), 튀어나온 병소(papule, plaque, nodule, cyst, tumor), 패인 병소(erosion, ulcer, fissure), 물집(vesicle, bulla), 고름집(pustule) 등으로 세분화되며, 이 구분은 질병을 진단할 때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오늘은 피부 병소의 기본적인 분류와 특징을 일상 속 사례와 함께 풀어보며, 이를 통해 내 몸에 생긴 변화가 어떤 유형에 속하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드리겠습니다.

 

목차
1. 점 형태의 병소 
   1-1) 반점 macule
   1-2) 반 patch

2. 패인 병소
   2-1) 미란 erosion
   2-2) 궤양 ulcer
   2-3) 균열 fissure

3. 튀어나온 병소
   A. 고체성 solid lesions
      A3-1) 구진 papule
      A3-2) 판 plaque
      A3-3) 결절 nodule
      A3-4) 낭종 cyst
      A3-5) 종양 tumor
   B. 액체성 fluid-filled lesions
      a. 맑은 액체 serous fluid
          Ba 3-6) 소수포 vesicle
          Ba 3-7) 대수포 bulla
      b.고름 포함 purulent fluid
          Bb 3-8) 농포 pustule

 

 

 

 

1. 점 형태의 병소 flat pigmented lesion

표면은 편평한데 색이 있는 병변을 말합니다.


1-1) 반점 macule

  • 정의: 지름 1cm 이하, 융기 없이 색만 변한 부위
  • 특징: 피부 표면이 올라오지 않으므로, 만져지지 않으며 단지 색깔로 인식됩니다. 피부가 두꺼워지거나 벗겨지는 등의 변화가 없음.
  • 일상 예시: 햇볕에 의해 생긴 주근깨, 기미
  • 한두 개 생길 수 있고, 여러 개가 퍼지기도 합니다.

 


1-2) 반 patch

  • 정의: 지름 1cm 초과, 평평하면서 색 변화만 있는 병변
  • 특징: 넓은 면적에서 색이 변하지만 여전히 융기 없음. 하지만, 피부표면이 두꺼워지는 등의 변화가 있을 수 있음.
  • 일상 예시: 생후 아기의 몽고반점, 성인의 백반증
요약
macule:작은 반점(≤1cm)
patch: 큰 점 (>1cm)

 

 

주근깨 maculepatch 반. 몽고반. 백반증
(좌) 1cm이하의 작은 점:주근깨, 기미와 같은 반점 macule. (우) 1cm 이상의 큰 점. 반 patch.

 

 

2. 패인 병소 (함몰된 병소) depressed lesion

2-1) 미란 erosion

  • 정의: 표피(epidermis) 일부층만 손실된 병소
  • 조직변화: 상피층만 벗겨졌고 진피는 보호되어 있어, 회복 시 흉터가 남지 않음
  • 일상 예시: 수두나 포진이 터진 후 궤양이 생긴 부위, 경미한 찰과상
  • 질병: 농가진 impetigo, 편평태선 lichen planus, 캔디다 candida 등

 

2-2) 궤양 ulcer

  • 정의: 표피 + 진피(dermis)가 모두 손상된 병변
  • 조직변화: 진피층까지 파괴되어 뿌리 깊은 궤양 형성—치유 후 흉터가 남기 쉬움
  • 일상 예시: 당뇨병 환자의 발궤양, 입 안의 아프타 궤양, 벌레 물림, 혈압성 질환, 면역결핍성 질환, 피부암 (BCC, SCC, melanoma), 아토피성 피부염 
  • 질병: 면역저하로 인한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감염, 거미 물림, 아프타궤양  aphthous ulcer 등

 

2-3) 열구, 균열 fissure

  • 정의: 선형의 갈라진 틈으로, 주로 표피에서 진피의 얕은 층까지 영향을 줌. 피부에 생기는 것은 주로 피부건조가 원인. 몸의 어디에나 생길 수 있은 주로 잘 생기는 부위는 발뒤꿈치, 손가락 끝, 발가락 사이. 소독하거나 보습제를 발라주는 것이 도움이 됨. 피가 나거나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의사의 진단을 필요로 함.
  • 조직변화: 피부가 길게 갈라져 상피층 연속성 절단
  • 일상 예시: 발뒤꿈치 깊숙한 균열, 입술 모서리의 틈(구순염), 항문 주위 갈라짐(anal fissure)
병변 종류 손상구조 흉터여부 일상 예시
미란 erosion 표피까지만 없음 포진 터진 자국
궤양 ulcer 표피 + 진피 있음 당뇨병 발 궤양
균열 fissure 선형으로 갈라짐
(대개 진피까지) 
상태에 따라 선처럼 패인 구조

 

함몰 피부병소 균열, 미란, 궤양
함몰된 피부병소. 균열, 미란, 궤양.

 

 

3. 튀어나온 병소 raised lesion

피부가 융기되어 올라온 형태를 말합니다.

 

고체성으로 단단하게 올라온 병소와 말랑하게 액체성으로 올라온 병소가 있습니다.

 

A. 고체성 solid lesion

표피만, 혹은 진피까지 단단하게 융기된 병소

 

A3-1) 구진 papule

  • 직경 ≤ 1cm, 단단
  • 예: 사마귀, 벌레물림

 

A3-2) 판 plaque

  • 직경 > 1cm, 평평하고 넓음
  • 예: 건선(psoriasis)

 

A3-3) 결절 nodule

  • 직경 >1cm, 진피까지 깊게 박힌 단단한 덩어리
  • 예: 결절홍반, 큰 여드름

구진 판 결절 피부병소
고체성 튀어나온 피부병소. 구진, 판, 결절.

 

 

A3-4) 낭종 cyst

  • 상피 세포로 둘러싸인 주머니, 내부에 액체/반고형 물질 포함
  • 예: 피지낭종

 

A3-5) 종양 tumor

  • 직경 >2cm, 단단하고 비교적 큰 병소
  • 예: 지방종, 피부암

 


B. 액체성 fluid-filled lesions

 

병소 내부에 액체/고름 포함 여부로 세분화

 

a. 장액성. 맑은 액체 serous fluid

Ba 3-6) 소수포 vesicle

  • 직경 ≤ 1cm, 작은 물집. 맑은 액체 포함
  • 예: 수족구병, 수두, 단순포진

 

Ba 3-7) 대수포 bulla

  • 직경 > 1cm, 큰 물집. 맑은 액체 포함
  • 예: 2도 화상 등 물집이 큰 경우

 

b. 화농성. 고름 포함 purulent fluid

Bb 3-8) 농포 pustule

  • 내부에 반고형 고름(pus) 포함
  • 예: 화농성 여드름, 종기

 

소수포 대수포 농포 피부병소
액체가 들어있는 튀어나온 병소. 소수포, 대수포, 농포.

 

 

 

수족구병 감별진단 완전정리. 수두 헤르펜지나와 다른점

수족구병 증상부터 입안 궤양 특징까지. 수두, 헤르판지나와 감별진단 치트키를 확인하세요.요사이 더운 여름, 수족구와 수두가 다시금 유행하고 있다는 뉴스가 있습니다. 여름과 가을철에 흔

gogo.yourlifesupport.com

 

 

4. 병소 총정리

 

분류 병소명 크기 내부포함물 예시
flat pigmented
편평하고 색소침착된 병소
macule 반점 ≤1cm.
1cm보다 작은 점
없음. 색변화만 있음 주근깨, 기미
  patch 반 >1cm
1cm보다 큰 넓게 퍼진 점
없음. 색변화만 있음 몽고반, 백반증
depressed
함몰된 병소
erosion 미란 - 없음 살짝 까진 찰과상
  ulcer 궤양 - 없음 당뇨성 궤양
  fissure
열구, 균열
선형으로 깊음 없음 균열된 발귀꿈치, 항문 균열
raised (solid)
튀어나온
고형

papule
구진
≤1cm
1cm보다 작게 튀어나옴
고형 사마귀, 벌레물린 부위
  plaque
>1cm
1cm보다 크고 넓음
고형 건선 등
  nodule
결절
≤1cm , 진피까지 깊이 
1cm보다 작은데 진피까지 깊이 단단한 덩어리가 있음
고형 결절홍반
  cyst
낭종
주머니 형태
상피층으로 둘러싸인 공동(공간)이 있음
액체/반고형 피지낭종
  tumor
종양
>1cm
1cm 이상의 깊고 단단한 덩어리가 만져짐
고형 지방종, 피부암
raised (fluid)
튀어나온
액체
vesicle
소수포
≤1cm
1cm보다 작고 액체가 들어있는 피부융기
맑은 액체 수두, 수족구병
  bulla
대수포
>1cm
1cm보다 크고 액체가 들어있는 융기
맑은 액체 2도 화상
  pustule
농포
≤1cm
화농성 삼출물로 채워진 수포
고름 화농성 여드름

 

 

5. 분류가 중요한 이유

1. 감별진단

수두, 단순포진, 수족구병, 피부진균증 등 원인 질환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2. 치료 방향의 설정

 

  • 단순 파열된 표피(Erosion): 진통제/보호
  • 깊은 궤양(Ulcer): 항생제, 드레싱 필요할 수 있음
  • 물집(Vesicle/Bulla): 기본 위생 + 2차 감염 예방

 

3. 흉터 예측

erosion 미란 같이 표피에 상처가 있는 경우 흉터가 남지 않으나, ulcer 궤양이나 fissure 열상 같은 깊은 상처는 흉터가 남습니다.

 

 

5. 마무리

오늘은 세 가지 큰 분류(Flat pigmented–Depressed–Raised)로 나누고, 튀어나온 병소를 다시 고체성 vs 액체성으로 나누어 총 13개 병소 유형을 자세히 정리했습니다.


각 병소가 가진 특징(크기, 높이, 내용물, 흉터 가능성 등)을 중심으로 적합한 진단, 관리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의사나 의료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피부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증상을 보고 관찰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 이 글의 목표입니다.


다음에도 일상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