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족구병 증상부터 입안 궤양 특징까지. 수두, 헤르판지나와 감별진단 치트키를 확인하세요.
요사이 더운 여름, 수족구와 수두가 다시금 유행하고 있다는 뉴스가 있습니다. 여름과 가을철에 흔히 발생하는 수족구병은 전염력이 높아 어린이집, 유치원 등에서 빠르게 퍼질 수 있는 질환입니다. 그런데 이 병은 아이들 뿐 아니라 성인도 감염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수족구병의 증상, 전염기간, 격리법, 위생지침 등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점들과 수두, 헤르판지나와의 감별진단 치트키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목차
1. 수족구병이란
2. 주요증상 - 초기증상, 구강증상, 다른 신체 부위, 합병증
3. 성인 감염 여부
4. 감염 전파력 및 전염 기간
5. 집 안에서 격리하는 방법
6. 위생지침과 소독
7. 치료 및 가정관리
8. 다른 피부병과의 감별진단
9. 마무리
1. 수족구병이란
1-1) 원인 바이러스
콕사키바이러스 A형 (coxsackie A virus 5,6,7,9,10)와 엔테로바이러스 (enterovirus 71)에 의한 급성 바이러스성 감염으로 생깁니다.
1-2) 감염 경로
주로 소아에서 유행하며, 오염된 침과 분변에 의해 전염됩니다. 경구-분변, 구강-구강, 비말 (재채기, 기침), 수포 터짐 (터진 수포를 직접 만지는 등) 등을 통해 전파됩니다.
1-3) 대상
주로 5세 이하 소아에 흔하지만 성인도 감염될 수 있으며, 성인의 경우 대부분 입안과 피부에 약간 수포가 생기는 경증 혹은 무증상으로 나타납니다.
가족과 학교 내에서 굉장히 빠르게 퍼질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가 침이나 분변 등에 몇 주간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1-4) 진단
주로 임상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에 의해 진단이 됩니다. 손발, 입술 주변에 나타나는 병소들이 양측성으로 나타납니다.
1-5) 이름 속 의미
hand, foot, and mouth disease
이름 그대로 손, 발, 입에 특징적으로 증상이 나타나는 병이라서 붙은 이름입니다.
- hand (손): 손바닥이나 손가락에 작은 붉은 발진이 생기며 차차 수포로 변합니다.
- foot (발): 발바닥, 발가락에 비슷한 발진, 수포가 생깁니다.
- mouth (입): 입안, 특히 혀, 잇몸, 뺨 안쪽 점막, 입천장에 궤양성 수포가 생기며 이로 인해 음식을 먹기 힘들어집니다.
2. 주요증상
2-1) 잠복기. 초기증상
잠복기는 보통 감염 후 3-6일이며 최대 7일까지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헤르펜지나와 비슷하게
피부 발진과 구강내 병소가
독감과 같은 증상 (목아픔, 연하곤란, 열)을
동반하며 생깁니다.
2-2) 호발 부위
수포가 잘 생기는 부위는 손바닥, 발바닥, 그리고 입안의 앞쪽 점막입니다.
수포는 대개 열이 나고 1-2일 후에 나타납니다.
신체 양측에 대칭성으로 나타납니다.
대부분 통증이 있고, 일부 성인의 경우 가려움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2-3) 구강내 증상 ★★★
입안 궤양: 수족구에서 보여지는 특별한 구강내 병소의 특징이 있습니다.
작은 수포 (vesicles)들이 생기는데
갑자기 터지며 궤양 (ulcer)을 만들어냅니다.
주변에 빨간 링 (red halo)을 형성합니다.
주로 입술 주변, 혀, 볼 협점막, 치아 아래 바깥쪽 협점막에 잘 생깁니다.
목구멍 뒷쪽에도 생길 수 있습니다.
통증으로 인해 무기력해지며, 수분섭취 거부, 식사 거부, 식욕감퇴 등이 발생하기 쉬워서 탈수 위험이 높습니다.
2-4) 손과 발의 증상
처음에는 납작한 분홍색 반점 (pink flat macule)으로 시작해서 작고 긴 붉은색 물집으로 변합니다.
대개 모양이 타원형입니다.
1주일 내로 벗겨지며, 상처없이 치유됩니다.
습진이 있는 어린이의 경우 이러한 붉은 물집과 반점은 엉덩이와 팔, 다리, 성기 주변 피부에 생길 수도 있습니다.
2-5) 합병증
- 엔테로바이러스로 인해 심각한 감염이 동반한 경우 심장, 폐, 뇌 (뇌수막염)의 염증까지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손톱 탈락이 수주 이후에 발생하는 사례도 보고됩니다.
3. 성인 감염 여부
성인도 감염될 수 있으며, 증상은 가볍습니다.
무증상자 역시 전파 가능성이 있어서 조용한 전파자 역할을 합니다.
4. 감염 전파력 및 전염 기간
전염이 가장 강한 시기는 증상이 시작된 첫 주입니다.
증상이 소실된 후에도 바이러스는 배출될 수 있습니다. 타액, 비점막 분비물, 수포액, 대변 등으로 수주간 전파될 수 있습니다.
잠복기가 3-7일이기 때문에 발병 후 증상이 있는 7-10일은 격리를 권장합니다.
5. 집 안에서 격리하는 방법
최소 격리 기간은 증상이 나타난 후로부터 7-10일입니다.
별도의 방을 사용하고, 공동 물품의 사용 자제 및 식기, 수건, 이불 등 같이 사용하지 않습니다.
엄마와 아빠도 접촉을 최소화하며, 접촉시에는 장갑 및 마스크 착용이 권장됩니다.
수건, 장난감을 공유하지 않으며, 감염자와의 입맞춤, 포옹도 삼가함이 좋습니다.
6. 위생지침과 소독
자주 환기합니다.
매일 소독합니다. (알콜, 희석된 표백제 소독)
고열 소독 가능한 물건은 고온으로 씻고, 세탁기도 고온으로 세탁합니다.
성인과 아이 모두 자주 손을 씻습니다. 비누와 물을 이용하여 20초 이상 손씻기를 합니다.
배변, 기저귀 교체, 화장실 다녀와서, 기침이나 재채기 후 반드시 손 씻습니다.
수포, 타액, 변 처리시 장갑을 착용하며, 장갑은 1회 사용후 폐기합니다.
오염된 물티슈와 휴지 등은 비닐에 밀봉 후에 버립니다.
7. 치료 및 가정관리
치료제는 없습니다. (항바이러스제 없음)
대부분의 헤르판지나와 수족구는 특별한 합병증 없이 자연치유 됩니다. 입안 궤양은 5-7일 이내에 호전되며, 피부 수포는 대개 10일 내에 낫고 흔적을 남기지 않습니다.
치료라고 도와줄 수 있는 것은 아픈 증상을 경감시켜주는 대증요법 뿐입니다.
비아스피린성 해열제인 타이레놀 (acetaminophen) 또는 이부프로펜 (NSAIDS)의 사용을 권장합니다.
이부프로펜의 경우 위장장애나 신독성 위험이 있을 수 있어서 소아가 구토, 설사를 하여 탈수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 경우 타이레놀 복용이 안전한 선택입니다.
아스피린의 경우, 간과 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Reye's syndrome 의 위험성 때문에 바이러스성 감염을 가진 소아에게는 절대 금기입니다.
항생제는 세균 감염이 아니기에 효과가 없습니다.
8. 다른 피부병과의 감별진단
8-1) 헤르판지나
<공통점>
헤르판지나도 콕사키바이러스 A형에 의해 생깁니다. 오염된 타액과 분변에 의해 전파됩니다. 어린이와 유아에게서 대부분 생깁니다.
감기같은 열, 삼키기 어려움, 목아픔이 보입니다.
입안 뒤쪽 (연구개, 편도 기둥쪽)에 붉은 반점으로 시작하여 금방 궤양화되는 수포를 형성합니다.
며칠 내로 저절로 좋아집니다.
궤양도 7-10일 정도 지나면 치유됩니다.
<수족구와 다른점>
헤르판지나는 손, 발에는 생기지 않습니다.
8-2) 수두 (chickenpox)
<공통점>
열, 오한, 인후염, 두통 등과 함께 증상이 시작됩니다.
저절로 낫습니다. (1-3일, 심하면 5-10일)
<수족구와 다른점>
수두는 바이러스가 다릅니다. Varicella-zoster-virus (VZV, = Human Herpes virus 3, HHV-3)에 의해 생깁니다.
가려운 소포성 발진 (pruritic vesicular rash)이 생깁니다. 이 발진은 얼굴과 몸통에서 시작하여 사지로 뻗어갑니다.
수포 (vesicle)는 농포 (pustule)가 되며, 딱딱해지고, 딱지가 생깁니다.
이 수포성 병소는 상대적으로 통증이 없습니다.
입 안에 생기는 경우, 경구개와 협점막 (볼)에 생깁니다.
치료제가 없으며 증상을 경감시켜주는 진통제와 가려움증을 없애는 약을 씁니다.
피부 질환 피부병소 종류 13종 +궤양 소수포 낭종 등
Erosion (미란), ulcer (궤양), fissure (균열)의 차이를 이해하고 피부 병소를 정확히 구분해 보세요. 상피와 진피 관계까지 자세히 설명합니다피부에 무언가 올라오거나 패이는 병소가 생기면 누구나
gogo.yourlifesupport.com
9. 마무리
수족구병은 아동, 성이 모두에게 전염이 가능하며, 경증으로 저절로 치유되지만 전염력이 강한 바이러스 질환입니다.
격리 기간은 증상 시작 후 7-10일이 필요합니다. 집안 위생관리가 핵심 역할을 하며 손씻기, 표면 소독, 격리공간 생활을 시행해야 합니다.
합병증 예방을 위해 수분 섭취, 통증완화를 위한 진통제복용이 도움이 됩니다.
학교, 시설 복귀 시점은 신중하게 판단해주세요.
교육부에서는 학생건강정보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곳에서 궁금한 질병명을 입력하면 발생현황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생활건강 잡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씻기의 중요성, 타이포이드 메리와 장티푸스 전파 경로 (5) | 2025.07.22 |
---|---|
식중독 증상과 대처법 식중독 고위험 음식 (4) | 2025.07.21 |
식품별 소비기한 유통기한 제조일자 보관온도 정리 (3) | 2025.07.20 |
피부 질환 피부병소 종류 13종 +궤양 소수포 낭종 등 (1) | 2025.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