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건강 잡기

식품별 소비기한 유통기한 제조일자 보관온도 정리

by 비노트고고 2025. 7. 20.

 

2023년 소비기한 제도로 바뀌며 유통기한이라는 용어는 사라졌습니다. 제조일자 표시 식품과 소비기한 식품의 차이를 알아보고 올바른 보관 온도까지 확인해보세요.


식품, 의약품, 화장품을 살 때 흔히 보게 되는 ‘유통기한’, ‘소비기한’, ‘사용기한’, ‘제조일자’ 표시는 소비자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이 용어들은 국가마다 의미와 사용법이 달라 혼란을 주기도 합니다.

특히 ‘Best Before’와 ‘Expiry Date’, 그리고 한국의 ‘소비기한’과 ‘유통기한’은 비슷해 보이지만 전혀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 세계 표기 방식과 한국의 최신 제도를 비교하며 소비자가 알아야 할 핵심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1. 국제 기준 식품 용어
  1-1) best before
  1-2) use by/expiry date
  1-3) sell by
2. 한국 기준 식품 용어
  2-1) 소비기한 (use by)
  2-2) 유통기한 (sell by)
  2-3) 제조일자 (manufacture date)
  2-4) 사용기한
  2-5) 개봉 후 사용기한 (PAO; period after opening)
3. 장보기 순서
4. 마무리

 

소비기한 유통기한 식약처
2023년부터 유통기한이 사라지고 소비기한으로 통일되었습니다.

 

 

 

 

1. 국제 기준 식품 용어

1-1) best before (또는 best before end)

 

이 날짜까지 섭취하면 '최상의 맛과 품질'을 보장한다는 뜻입니다.

best before는 품질 기준.


 

 

  • 특징:
    • 이 날짜가 지나도 곧바로 먹을 수 없다는 뜻은 아님.
    • 단, 맛, 향, 식감 등 품질이 저하될 수 있음.
    • 육안, 냄새, 맛으로 상태를 확인하고 섭취 가능 여부를 판단.
  • 예시: 과자, 통조림, 냉동식품 등
  • 표기 방식:
    • Best Before 2025-10-30
    • Best Before End: Oct 2025
  • 사용 국가: EU, 영국, 캐나다, 일본 등

 

 

 

 

1-2) use by/expiry date

 

이 날짜 이후에는 섭취하면 안전에 위험이 있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use by/expiry date는 안전 기준.

 

 

  • 특징:
    • 이 날짜가 지나면 반드시 섭취 금지.
    • 특히 육류, 유제품, 생선 등 신선식품에 사용.
    • 유통업체는 이 날짜가 지나면 재고를 폐기해야 하는 의무가 있습니다.
  • 예시: 우유, 연어, 햄
  • 표기 방식:
    • Use By: 2025-08-15
    • Expiry Date: 2025-08-15
    • EXP: 08/2025
  • 사용 국가: EU, 영국, 미국, 캐나다, 싱가포르 등

 

 

1-3) sell by

소매업체가 이 날짜까지 상품을 진열하고 판매해야 함

 

  • 특징:
    • 소비자가 아닌 유통업체를 위한 표시.
    • 판매일 기준이며 섭취 가능 기간과는 다름.
  • 표기 방식:
    • Sell By: 2025-07-10
  • 사용 국가: 미국, 일부 캐나다 지역

생선 보관법식품별 소비기한소고기 다짐육 보관방법
식품별 소비기한 확인

 

 

2. 한국 기준 식품 용어

식품의약품안전처 소비기한 식의약
2023년부터 도입된 소비기한. 출처= 식약처

 

 

 

한국은 2023년 1월부터 ‘소비기한’ 제도를 도입했고, 1년의 계도기간을 거쳐 2024년 1월 1일부터 표기를 소비기한으로 바꾸었습니다.

 

기존의 유통기한은 판매자 기준 날짜였지만, 소비기한은 소비자가 먹을 수 있는 안전한 기한으로 의미가 바뀌었습니다.

 

 

2-1) 소비기한 (use by)

 

소비자가 안전하게 섭취 가능한 기한.

포장 상태와 보관 조건을 지켰을 때

섭취해도 안전한 기한을 말합니다.

 

  • 특징:
    • 소비자 중심의 표기 방식
    • 품질과 안전성을 모두 고려한 날짜.
    • 기한이 지나면 섭취를 권장하지 않음.
    • 소비기한을 사용하면 기존의 유통기한보다 조금 더 길게 지정할 수 있어서 식품의 폐기량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 기존의 유통기한만으로는 소비자가 구매 후 언제까지 먹을 수 있는지까지는 알기 힘들었습니다.
  • 표기 방식:
    • 소비기한: 2025.08.15
  • 적용 사례: 우유, 햄, 두부 등의 신선식품, 과자, 라면, 통조림 등
  • 보관 방법: 제품별 보관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식품 구입 시 소비기한을 확인하고 보관방법 준수도 중요합니다.
    • 냉장기준: 0~10℃
    • 냉동기준 : -18이하
    • 실온기준: 1~35 ℃

통조림 소비기한 예시
통조림의 소비기한 표기 예.

 

 

2-2) 유통기한 (sell by) - 폐지.

 

판매자가 판매 가능한 최종 기한을 말합니다.

(현재는 법적으로 표기가 폐지되었습니다)

 

 

  • 특징:
    • 판매자 중심의 표기 방식.
    • 과거에는 이 날짜까지 섭취해야 하는 줄 알고 소비자에게 혼동을 줬습니다.
    • 2023년 이후 법적으로는 폐지되었고, 1년의 계도기간 중에는 혼용 사용되었으며, 2024년 1월부터는 유통기한을 표시하면 안 됩니다. 
  • 표기 방식:
    • 유통기한: 2025.08.10 (과거 표기)

 

2-3) 제조일자 (manufacture date)

제품이 만들어진 날짜를 말합니다.

 

식약처 가이드라인에 의하며 장기 유통 식품 (우유, 햄 등)은 소비기한을 반드시 표시하고, 단기 유통 식품 (빵류 등)은 제조일자만 표기 가능하다고 합니다. 다만, 영업자가 판단하여 소비기한도 병기할 수 있습니다.

 

빵류는 제조일자 표시가 많은 대표적인 품목입니다.

즉, 제조일자만 적혀있고 소비기한이 적혀있지 않은 경우, 소비자가 제조일과 소비기한 기간을 따져야 합니다.

보통 단기 유통 빵 (동네 제과점에서 구운 프레쉬 빵 등)의 경우 제조일자가 표기되어 있으며, 보관 조건이 중요하며, 냉동이 아닌 한, 2~3일 이내 소비가 전제됩니다.

 

포장된 대량 생산 빵 (편의점에서 파는 빵)의 경우 소비기한이 표기되며, 장기간 유통이 가능하나 보관 조건이 중요합니다.

 

  • 특징:
    • 소비기한 계산의 기준일.
    • 주로 빵, 음료, 화장품 등에서 자주 표기.
  • 표기 방식:
    • 제조일자: 2025.07.01

 

2-4) 사용기한 (의약품, 화장품 중심)

 

개봉여부와 관계업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한을 말합니다.

 

 

  • 적용 대상: 연고, 선크림, 점안액 등
  • 표기 방식:
    • 사용기한: 2026.05.30
    • EXP: 05/2026

 

 

2-5) 개봉 후 사용기한 (PAO; period after opening)

 

개봉 후 몇 개월 이내에 사용을 권장한다는 의미입니다.

 

 

  • 표기 예: 12M = 12 months after opening
  • 적용 대상: 화장품, 일부 약제 등

로션 사용기한 개봉후 12개월 화장품 소비기한 개봉후 6개월
색조화장품 사용기한화장품 사용기한
화장품 별로 후면에 적힌 사용기한을 확인하세요.

 

 

3. 장보기 순서

장을 볼 때는 식품의 냉장, 냉동 상태를 잘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고기, 생선 등의 부패하기 쉬운 식품과 냉장, 냉동식품은 카트에 가장 마지막에 담아야 합니다.

마트 내부가 시원하다고 식품의 순서 없이 마구잡이로 담으면 안 됩니다.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가능한 한 1시간 이내로 구매하고, 집에 도착하면 바로 냉장, 냉동에 보관하세요.

 

다음의 순서로 장을 보세요.

  • 실온 식품 (쌀, 과자, 라면, 음료 등)
  • 신선 식품 (과일, 채소)
  • 가공 식품 (만두, 어묵 등)
  • 육류 (소고기, 돼지고기, 닭)
  • 어패류 (생선, 조개류)

과자 사탕 소비기한라면 소비기한
젓갈류 소비기한 보관법맥주 소비기한
베이커리 방 보관법빵 종류빵 보관법
신선하 조개 선별해산물 보관법육류 보관법
과일 소비기한소비기한 유통기한 사용기한 비교장보기 순서

 

 

4. 마무리

이제는 ‘유통기한’보다 ‘소비기한’이라는 단어가 더 익숙해지고 있습니다. 과거의 유통기한은 주로 판매자 입장에서 품질을 기준으로 삼았던 반면, 소비기한은 소비자가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는 안전기준으로 바뀌었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입니다.

 

즉, 소비기한은 단순히 맛이나 향의 변화뿐 아니라 식중독 등 건강상 위험 요소까지 고려해 설정된 기한이기 때문에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특히 단기 유통 제품(빵류, 두부 등)은 여전히 제조일자가 표시되는 경우가 있지만, 포장 식품의 경우 대부분 소비기한으로 전환되며 소비자가 보다 쉽게 기한을 확인할 수 있도록 바뀌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소비기한과 함께 냉장, 냉동 보관 등 표기된 저장 조건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비자의 작은 관심과 관리 습관이 우리 가족의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이 될 것입니다.

 

 

수족구병 감별진단 완전정리. 수두 헤르펜지나와 다른점

수족구병 증상부터 입안 궤양 특징까지. 수두, 헤르판지나와 감별진단 치트키를 확인하세요.요사이 더운 여름, 수족구와 수두가 다시금 유행하고 있다는 뉴스가 있습니다. 여름과 가을철에 흔

gogo.yourlifesupport.com

 

 

 

돈키호테 팝업 더현대 서울 웨이팅 키오스크 위치

더현대 서울 팝업스토어 돈키호테 웨이팅 키오스크의 위치를 확인하고 바로 신청하세요!일본 여행을 가야만 만날 수 있었던 쇼핑 천국 ‘돈키호테’가 한국에 상륙했습니다. 이번에 GS25와 협업

tour.yourlifesupport.com

 

 

 

출국납부금 (출국세) 환급 신청방법 미성년 신청 시기+ 문자 수신

출국세 환급금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성인 3천 원, 어린이 1만 원 환급받으세요. 웹사이트에서 회원가입 없이 바로 처리됩니다. 자동환급되지 않으니 꼭 신청해서 받으세요~ 본인 인증할 핸드폰

yourlifesupport.com